한국의 인터넷 환경은 다른 나라에 비해 속도나 품질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00Mb 광랜만 하더라도 일반적인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업로드나 동영상 스트리밍에 전혀 문제가 없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100Mb 광랜보다 훨씬 더 속도가 뛰어난 기가 인터넷이 상용화되어 더욱 쾌적한 인터넷 환경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인터넷 서비스에서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는것은 아니며 환경에 따라 오히려 속도가 매우 느리게 측정될 수도 있는데요. 이럴 때 사용하면 좋은 것은 인터넷 속도 측정 프로그램 이지만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웹사이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까지 많이 알려진 인터넷 속도 측정 프로그램 및 사이트는 몇가지 인증 절차나 액티브x 또는 확장 애드온을 설치해야 이용 가능 합니다. 하지만 Speedtest.net은 불필요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외 서버에 기반을 둔 사이트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영어로 되어 있지만 사용에는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측정 속도 또한 매우 정확합니다.
상단에 첨부한 스피드테스트 웹사이트 주소를 클릭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어 편리합니다.
모든 테스트는 자동적으로 진행되며 테스트가 종료되면 아래와 같이 ‘Ping’ 속도와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가 표기됩니다.
NIA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터넷 속도 측정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국내 서버에서 측정하는 것이므로 가장 정확한 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 인터넷 속도와 비교해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속도 측정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첨부한 NIA 홈페이지 주소를 클릭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익스플로러 (IE)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앞서 첨부한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NIA와 Speedtest.net의 결과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오히려 nia는 별도의 확장 프로그램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가중되기도 합니다.
혹시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어볼까 생각 중이신가요? 요즘은 개인 브랜딩이든, 사업 홍보든 온라인 공간에서의 존재감이 정말…
Ansys 다운로드를 고민하시는 분들은 보통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에 관심이 많거나, 학교 과제 혹은 연구 프로젝트를 위해…
요즘 여러 분야에서 파이썬을 배우려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과거에는 프로그래밍 전공자만 주로 사용한다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