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뢰찾기 사이트 고전 버전 무료로 하는 방법



최근에는 PC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오히려 해본 게임보다 못해본 게임이 더 많을 정도입니다. 유료 게임의 수도 매우 많지만 무료로 서비스중인 게임의 수도 매우 많아서 취향에 따라 게임을 즐기는 추세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급된지 얼마되지 않았을 때는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었던 지뢰찾기나 카드게임, 프리셀 등의 게임이 큰 인기를 얻기도 했습니다. 마땅히 즐길 거리가 없던 시절에 간단하면서도 나름의 재미가 쏠쏠했기 때문이죠. 윈도우10에 들어서면서 윈도우 기본 게임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과거의 지뢰찾기를 그리워하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과거의 지뢰찾기를 인터넷상에서 즐길 수 있는 지뢰찾기 사이트 이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뢰찾기 사이트

윈도우98 시절에 즐겼던 지뢰찾기의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버전을 인터넷에서 무료로 즐길 수 있습니다. 당연히 인터넷은 반드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아쉽게도 오프라인 다운로드 기능은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지뢰찾기 사이트 에 접속하여 게임을 즐기셔야 합니다. 물론 즐겨찾기를 해놓으면 언제든지 쉽게 해당 사이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지뢰찾기 사이트 사용법

지뢰찾기 사이트 에서 제공중인 버전은 온라인 버전이기 때문에 예전처럼 난이도 조절은 할 수 없습니다. 예전으로 치면 중급 난이도로만 플레이를 하실 수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지뢰찾기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 첨부한 주소를 클릭하여 지뢰찾기 사이트 에 접속합니다.
  • 아래와 같이 고전버전의 지뢰찾기를 곧바로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좌클릭은 네모칸 1개씩 열어보는 것이고, 마우스 우클릭은 깃발 (지뢰라고 의심되는 곳을 표시하는 것)을 심을 수 있습니다.

무료 지뢰찾기

 

  • 마우스 왼쪽으로 아무곳이나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숫자들이 표기 됩니다.
  • 각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해당 주변에 그 숫자만큼의 지뢰가 있는 것 입니다.
  • 즉 숫자 1은, 숫자 1을 동그랗게 둘러싼 주변 네모  8칸 중에 지뢰가 1개 있다는 것이고, 숫자 2는 주변 8칸중에 지뢰가 2개 있다는 것 입니다.
  • 숫자가 3개면 주변에 지뢰가 3개가 있다는 것이고, 4면 주변에 지뢰가 4개가 있다는 것 입니다.
  • 다만 지뢰가 어느곳에 묻혀있는 지는 완벽히 알 수 없으므로, 주변의 숫자들을 참고해서 지뢰의 위치를 추리해야 합니다.

지뢰찾기 사이트

 

  • 위의 사진을 보면 열어놓은 숫자들의 중앙 상단에 숫자가 11112라고 둘러쌓여 있습니다.
  • 각 숫자들의 주변 8칸 중에서 숫자만큼의 지뢰가 숨겨져 있다는 것이므로, 추리해보면 가운데에 있는 네모칸은 지뢰일 확률이 100% 입니다.
  • 당연히 해당 네모칸을 클릭하면 지뢰가 터지면서 게임이 마무리 됩니다.
  • 지뢰찾기 게임은 지뢰를 모두 피해서 멀쩡한 네모칸을 모두 열면 게임에서 승리하게 됩니다.

지뢰찾기


지뢰찾기 사이트 순위 보는 법

랭킹

  • 온라인 버전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 화면의 하단에서 일, 주, 월, 전체 기간으로 구분해서 유저와 점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멜론 해지 스마트폰에서 하는 법, 추가 할인 받는 방법
  2. 컴퓨터 사양 확인 프로그램 CPU-Z 다운로드 및 사용법
  3. 메모리 부족 해결 프리mmr로 초간단 최적화 시키기
  4. pdf 번역 프로그램 Google 번역기를 사용하세요
  5. pdf 복사 방지 해제 1분만에 무료로 하는 방법

작성자 프로필 사진
안녕하세요! IT Talk입니다.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IT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다년간의 실제 사용 경험과 지속적인 학습을 통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엄선하여 제공합니다. 단순 정보 나열이 아닌, 실사용자의 시각에서 진행하는 꼼꼼한 테스트와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품과 기술의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여러분이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IT Talk] 더 알아보기